분류 전체보기 (6)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인턴 프로그램-공부, 공부를 합시다! 또 오랜만에 글을 쓴다. 저번 글을 보면 마치 하루하루에 있었던 모든 일들을 다 올릴 것처럼 써놨는데, 또 "오랜만에" 돌아오고야 말았다. 뭐.. 말이 필요한가. 바쁘기도 했지만 귀찮았다. 이 귀찮음이란... 뭔가 블로그에 업로드하는 글의 퀄리티에 대한 욕심 때문이겠지. 그래서 이젠 큰 부담 없이 조금씩이나마 자주! 근황이나 과학, 기술 관련 글을 남기려한다. 1. 공부를 합시다! 인턴 프로그램이라고 말은 하지만, 사실상 관련 분야 논문읽기 + 실험 참관 정도가 학부생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최대치이다. 물론, 개개인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달렸지만, 그 이상을 하기는 매우 어렵고 힘들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처음에는 강의실에서 논문만 주구장창 읽는 루틴이 매우 지루하다고 생각했다. 아마..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인턴 프로그램(23.01.05~) 마지막 포스팅을 하고 시간이 많이 흘렀다. 어느덧 졸업을 앞두고 있는.. 그렇지만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는 그런 상황이다. 호기롭게 도전했던 공채에서 면탈을 하고... 무기력한 시간들을 보내다가 뭐라도 해야겠다 싶어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 운이 좋게도 관심을 가지고 있던 연구실에서 인턴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현재 인턴을 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는 방학마다 학부 인턴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자대생은 물론 타대생도 연구실에서 두달 동안 인턴 생활을 하면서 여러가지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제도이다. 안전교육을 이수하고, 정식으로 절차를 밟아 연구 보조원 신분이 되면, 소정의 인건비도 지급된다(한달 왕복 차비정도). 나는 교수님께 컨택을 늦게 한 케이스라 실험이 시작된 상태에서 늦게 합류하게 되.. 동영상 배속 크롬 확장 프로그램 - Video Speed 나는 평소에 유튜브를 비롯한 여러 동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주로 경제/재테크 분야에 관련된 정보나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영상을 시청하는데, 영상에 따라 빠르고 간결한 편집을 통해 배속이 따로 필요없는 경우도 있지만 최대한 짧은 시간내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보통 1.25배속 또는 1.5배속을 해서 시청하는 편이다. 유튜브에도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지만 매번 설정에 들어가서 클릭하는 것이 은근 번거롭다(나만 그런가? ㅋㅋ) 또 유튜브가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 배속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매우 불편함을 겪은 기억이 있다. 오늘 소개할 Video Speed는 동영상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두배정도 향상시킬 것이다. (Video Speed Controller 아님!!).. 확산(Diffusion)-下 지난 포스팅(확산-상편)에서는 Fick의 법칙을 통해 '확산'이라는 현상에 대해 정성적, 정량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확산계수 D에 대해 알아보고, 확산 part를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확산계수(D)확산-上에서도 Fick의 법칙을 다루면서 D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한 바 있다. 간단히 말하면, 확산 계수 D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고,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가 증가하면 지수적으로 감소한다.직관적으로 생각해보면, 온도가 증가하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라 확산이 더 잘 일어날 것이다. 확산계수는 확산현상이 얼마나 활발한지를 정량화한 물질의 고유 성질이다. 온도에 따른 확산계수 D는 바로 이해가 되는데, 활성화 에너지는 뭐하는 녀석일까.. 확산(Diffusion)-上 확산(Diffusion)이란 뭘까? 일단 '확산'이라는 말을 들으면 뭔가 퍼지는? 번지는? 느낌이 든다. 뭐 디퓨저(diffuser)도 생각나고... 일상적으로는 액체나 기체에서 많이 관찰되지만, 고체에서도 확산이 일어날 수 있다(그 속도가 매우 느릴 뿐). 이공계 학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 '확산'이라는 개념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화학, 생물에서는 분자의 확산, 재료공학에서는 원자의 확산, 전자공학에서는 전자의 확산... 그 밖의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을 만큼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개념이다. 이렇듯 익숙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확산 현상을 잘 나타낸 매우 유명한 방정식이 있다. 바로 Fick의 법칙(Fick's laws of diffusion)이다. Fick.. 블로그를 시작하는 이유 전공 공부를 하다 보면 구글링을 많이 하게 될 수 밖에 없다. 특히 그 전공 지식의 내용이 깊어질수록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기는 어려워진다. 여기서 '신뢰' 할 수 있는 정보란, '출처가 명확하여 의심의 여지가 없는 정보'이다. '구글'이라는 검색 엔진에 알아보고 싶은 내용을 입력하면, 엄청난 양의 정보가 우리를 덮친다. 게 중에는 '이 자료는 믿을 수 있을까?', '이건 뭔소리지?' 하는 생각이 드는 자료도 더러 존재한다. 이러한 사정을 잘 알기때문에, 내가 공부하면서 배운 것, 느낀 점들을 정리하고, 다시 한 번 검토하여 포스팅을 하고 다음에 그 정도 수준의 지식이 필요할 때 꺼내볼 수 있는 기록을 남기고자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다. 아직 아는게 없는 학부생 나부랭이지만 꾸준히 정진하여 나 자신은.. 이전 1 다음